728x90
반응형

토지거래허가제도

(a.k.a. 토허제)

#토허제의미 #토허제과거사례

#토허제영향 #토허제재지정

최근 토지거래허가제도가 재지정되었다는

뉴스로 세간이 떠들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토지거래허가제도는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토지거래허가제도 의미

허가대상 면적

토지이용 의무 기간

허가 절차

허가가 불필요한 경우

대상지 확인하는 방법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의 영향

토지거래허가제도 (aka 토허제)

의미

토지거래허가제도

특정 지역에서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를 거래하거나 소유권, 지상권을 이전할 때,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해당 행위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특정 구역 내에서만 적용되며,

주로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고

지역 개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이 되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권자는

국토교통부 장관이나 서울특별시장이며

기간은 5년 이내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허가대상 면적

허가를 요하는 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만,

지정할 당시 해당 지역에서의 거래 실태를 고려하여

해당 면적의 10% - 300% 이하 범위에서

따로 정하여 공고할 수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공고문에서는

위 면적의 10% 수준으로

공고가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토지이용 의무 기간

허가를 받은 토지의 경우

해당 토지를 목적에 맞게 특정 기간

사용해야 되는 의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주택 매매를 한 경우

2년간 실거주 의무가 있습니다.

✅ 용도별 토지이용 의무 기간

 

반응형

허가 절차

허가 신청은

거래 당사자인 매수자와 매도자가 공동으로

계약 내용 및 토지이용계획을 기재한 허가 신청서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하면 됩니다.

 

허가가 불필요한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이 되더라도

허가가 불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

상속이나 증여, 경매를 통한 경우입니다.

그래서

경매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의 매물이 나오게 되면,

실거주 의무가 없고,

합법적으로 갭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쟁률이나 낙찰가가 높은 수준으로

낙찰이 되기도 합니다.

✅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

대상지 확인하는 방법

1. 서울특별시 부동산정보광장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land.seoul.go.kr) → 기타 정보

→ 토지거래허가 →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현황

해당 경로를 따라가면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과 지정 기간 면적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가령 글을 작성하는 시간은

25년 3월 22일이지만,

지정현황은 25년 2월 17 기준이라

3월에 지정된 현황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최근에 지정된 현황을 확인하는 방법은?

하기 2번에서 설명하겠습니다.

2. 서울시보

토저거래허가구역 지정 공고는

서울 시보를 통해서 발표합니다.

서울시보는 매주 목요일,

공휴일인 경우 그다음 날 발행하는데,

서울시보 확인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시홈페이지(seoul.go.kr) → 서울소식

→ 공고 → 서울시보

그다음

검색창에 목차(전체)를 체크해 주고,

검색어에 토지거래허가를 입력하여 검색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공고문이 보입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25.3.19 공고문을 보겠습니다.

바로 강남 3구+용산구 아파트를

모두 허가구역으로 꽁꽁 묶어버린

최근 화제의 공고입니다.

 
728x90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의 영향

1. 부동산 가격 상승 제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되면

주택의 경우 실거주 2년 의무가 부과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갭투자를 전혀 할 수 없게 되죠.

이로 인해 실거주로만 접근해야 하므로

자금의 압박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재산권 침해

개인의 재산권에 과도한 제한을 가할 수 있습니다.

투기 목적이 없는 실수요자에게도

거래를 어렵게 만들게 하기 때문에

급하게 매도해야 하는 경우라면, 큰 부담을 줍니다.

특히

상급지 구역일지라도

구역 내에서도 외곽에 위치하며

거래가 적은 나홀로 아파트의 경우,

매도자에게 더욱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3. 풍선효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인해

특정 지역의 갭투자가 제한되면,

투자자들은 허가구역 외의 인근 지역으로

눈을 돌리게 되고,

이로 인해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즉, 한 지역에서 규제가 강해지면,

투자자들이 인근 지역으로 수요가 이전되면서

인근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해제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출렁이고, 지정 구역뿐만이 아니라

주변 구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여파는 크기 때문에

향후 추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해제에 따른 영향과

정부의 최근대책 확인하려면 ⬇️⬇️

 

2025.03.19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원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3.19 대책 원문보기

2025.03.19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3.19 대책 #토지거래허가구역재지정 ​​2025년 3월 19일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에 대해 관련 요약 및 원문을 살펴 보겠습니다.​​목

byemoney.tistory.com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21 (미국 기준)

2025.03.22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주식 시장: S&P 500, 월가의 변동성 높은 한 주 속에서 4주 연속 하락 마감 종료

  • 테슬라의 개인 투자자들, 사상 초유의 속도로 주식 매수

  •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직원들과 투자자들을 달래기 위해 깜짝 전사 회의 개최하며 주가 반등
 
반응형

 

  • 트럼프, 전투기 계약에서 록히드 대신 보잉 선택, 록히드마틴 주가 급등

  • 티켓 판매 플랫폼인 스텁허브, 2024년 매출 성장과 소규모 연간 손실을 공개하며 기업공개(IPO)를 신청

  • 슈퍼 마이크로, 제이피모건의 투자의견 중립 상향 및 목표 주가 상향에 급등

  • 2025.03.21(미국 기준) / 03.22(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21(미국 기준) / 03.22(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0.78%

임의소비재 : +0.36%

필수소비재 : -0.04%

에너지 : -0.70%

금융 : -0.36%

헬스케어 : -0.28%

산업 : -0.53%

소재 : -0.99%

부동산 : -0.98%

정보기술 : +0.27%

유틸리티 : -0.64%

  • 2025.03.22. A.M. 8: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985.20

S&P 500 : 5,667.44

나스닥 : 17,784.05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92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47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07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54

S&P VIX : 19.28

달러 인덱스 : 104.15

원달러 환율 : 1,463.56

엔달러 환율 : 149.30

유로달러 환율 : 1.0814

금 : 3,021.40

은 : 33.486

구리 : 5.1135

WTI 유가 : 67.89

비트코인(USD) : 84,292.0

이더리움(USD) : 1,970.00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구로동 728번지 모아타운

서울시/구로구/언론 보도 내용

구로동 728번지 모아타운은

면적 64,151m2

권리 산정기준일 2022.6.23

현재 관리 계획 승인 고시된 상태입니다.

2024.12.26

구로동 728번지 일대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 계획(모아 타운 관리 계획)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 원문을 가져왔습니다.

구로동 728번지 모아타운은

총 3구역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A-1 : 13,685m2

A-2 : 17,068m2

A-3 : 19,110m2

 

각 구역의 세대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A-1 구역 :

전체 세대 463, 임대 49, 조합/일반분양 414

A-2 구역 :

전체 세대 574, 임대 59, 조합/일반분양 515

A-3 구역 :

전체 세대 700, 임대 68, 조합/일반분양 632

전체 면적 64,151m2 중

제2종(7층 이하)와 제2종 일반 면적의

상당 부분이 제3종 일반으로 종상향 되었습니다.

 

 

반응형

교통

구로동 728 모아타운 구역 중심에서

7호선 남구로역까지는

도보로 8분

1호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는

도보로 12분

소요된다고 나옵니다.

인근 아파트

구로동 728 모아타운 인근에는

신축 대단지 아파트가 전무합니다.

7호선 남구로역 인근에

구로두산과 삼성래미안 대단지가 있는데,

모두 20년이 넘은 구축입니다.

구로 두산은

총 10개동 1,285세대

98년에 건축된 구축 아파트입니다.

84 기준으로

매매는 7억 원대

전세는 4억 원대

 

삼성래미안은

1,244세대 총 16개동

2004년 준공된 구축 아파트입니다.

삼성래미안은

전용 59, 84m2 은 없고

전용 56, 78, 109, 110m2 가 있습니다.

전용 78m2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실거래 기록이 있습니다.

매매는 8억 원대 전후

전세는 5억 원대 전후

 

 

728x90

실거래 현황

아실로 본

구로동 728 일대의 실거래 내역입니다.

최근 3건의 실거래는 면적상

단독주택 거래가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매물 / 시세 현황

현재 네이버부동산 기준으로는

전세 2억 원을 끼고 매수한다면

1억 원대 투자 가능한 매물이 있네요.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금천구 - 시흥1동 864번지

모아타운

서울시/금천구/언론 보도 내용

2024.12.5

시흥1동 864번지 일대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 계획(모아 타운 관리 계획)

변경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

원문을 가져왔습니다.

시흥1동 864번지 일대는

면적 81,649m2

권리 산정기준일 22.10.27

현재는 관리 계획 승인 고시 단계입니다.

A-3 구역 내 종교시설 부지는

추후 토지 등 소유자와 협의하여

대체부지 마련과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되어있습니다.

시흥1동 864번지 모아타운은

A1 - A5

총 다섯 개 구역으로 진행됩니다.

구역 내의

시흥연립은 A-5 구역으로 별도 추진됩니다.

A-1 :

총 467 세대, 토지 등 소유자 253세대

조합설립 인가 검토 중

A-2 :

총 202 세대, 토지 등 소유자 123세대

동의서 징구 중

A-3 :

총 448 세대, 토지 등 소유자 228세대

조합설립 인가

A-4 :

총 357 세대, 토지 등 소유자 205세대

조합설립 인가

A-5 :

총 72 세대, 토지 등 소유자 71세대

사업시행계획인가

 

각 구역의

임대 세대수와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A-1 :

총 467 세대

임대 101세대 (25.33%)

A-2 :

총 204 세대

임대 143세대 (29.90%)

A-3 :

총 450 세대

임대 131세대 (29.11%)

A-4 :

총 367 세대

임대 96세대 (26.16%)

A-5 :

총 101 세대

임대 11세대 (10.89%)

제2종(7층 이하)와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 되었습니다.

 

 

반응형

교통

시흥1동 864번지 일대 모아타운

인근에는 1호선 금천구청역 이 있고,

신안산선 시흥사거리역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신안산선은 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모아타운 구역 중심에서

1호선 금천구청역까지는

대략 도보 13분

추후 신안산선 시흥사거리역까지는

대략 도보 8분 소요됩니다.

 

인근 아파트

1호선 금천구청역 인근에는

롯데캐슬 1차 - 4차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시흥1동 864번지 모아타운과 가장 인접하면서

모아타운 총 세대수 1,579와 비슷한 규모의

롯데캐슬골드파크3차를 보겠습니다.

롯데캐슬골드파크3차는

1,236세대 총 6개동

2018년 준공된 준신축입니다.

84 기준으로

매매가는 11 - 12억 원대

전세는 6 - 7억 원대입니다.

 

 

728x90

 

실거래 현황

아실로 본

해당 구역 내의 실거래 현황입니다.

다세대 빌라 2억 원대 거래가 많은 편입니다.

 

시세/매물 현황

2억 원대 매물이 많으며,

전세를 끼고 매매할 경우

1억 원대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20 (미국 기준)

2025.03.21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주식 시장: 다우, S&P 500, 나스닥 하락, 연준 주도의 수요일 상승세 이어가지 못함.

  • 미국 신규/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신규 223K (예측224K), 연속1,892K (예측 1,890K)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실적발표, AI 메모리 칩 수요 증가에 힘입어 긍정적인 분기 매출 전망 발표. 주당순이익 $1.56(예상 $1.44), 매출 $8.05B($7.91B), 시간외 주가 급등.
  • 모건 스탠리(MS), 골드만 삭스(GS),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등 월스트리트 은행들 경제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일자리 축소

  • 테슬라, 스틸 트림 조각이 떨어지는 문제로 사이버트럭 리콜
 

  • 애플, 증가하는 고객 이탈률로 인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연간 10억 달러 손실 보고

 

반응형

  • 엔비디아, 양자 컴퓨팅 연구소 개설 예정… 젠슨황 CEO 발표

  • 공매도 투자자들, 테슬라와 엔비디아에 대해 반대 매매를 하며 150억 달러 수익

  • 회로 기판 제조업체 자빌, 강력한 실적 및 AI 수요 지속으로 인한 강한 연간 전망에 주가 급등

  • 2025.03.20(미국 기준) / 03.21(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20(미국 기준) / 03.21(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0.08%

임의소비재 : -0.26%

필수소비재 : -0.51%

에너지 : +0.51%

금융 : +0.29%

헬스케어 : +0.10%

산업 : -0.36%

소재 : -0.45%

부동산 : 0.00%

정보기술 : -0.64%

유틸리티 : +0.29%

  • 2025.03.21. A.M. 05: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953.32

S&P 500 : 5,661.18

나스닥 : 17,691.63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52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37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07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57

S&P VIX : 19.83

달러 인덱스 : 103.82

원달러 환율 : 1,466.57

엔달러 환율 : 148.80

유로달러 환율 : 1.0853

금 : 3,053.20

은 : 34.083

구리 : 51.090

WTI 유가 : 68.27

비트코인(USD) : 84,301.0

이더리움(USD) : 1,975.26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성북구 - 장위 15구역 재개발

장위에는 다양한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해제되고, 준공이 되어

입주가 완료되거나 입주 예정 지역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장위 15구역을 살펴보겠습니다.

서울시/성북구/언론 보도

 

현황

위치 :

장위동 233-42 일대(면적 : 187,669㎡)

조합원 수 : 1,797

조합장 : 지종원(02-915-9501)

사무실 주소 :성북구 화랑로 262, 4층

사업 계획

규모 :

지하 8층/지상 36층 38개동 3,318세대

(임대 845세대 포함)

건축면적 :

31,042.01㎡

용적률 산정용 연면적 :

347,050.00㎡

건폐율 : 24.84%

용적률 : 277.69%

추진사항

2005. 12. 16 장위 뉴타운 지구 지정

2006. 10. 19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고시(서울시고 시 제2006-357호)

2008. 04. 03 재정비 촉진계획 결정·고시(서울시고 시 제2008-111호)

2010. 04. 22 장위재정비 촉진계획 결정·고시(서울시고 시 제2010-142호)

2010. 07. 09 조합설립 추진 위원회 승인

2020. 03. 13 추진 위원회 변경 승인(추진 위원장 등)

2021. 07. 22 일몰기한 연장이고 시

2022. 03. 28 조합설립 인가

2023. 03. 03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 접수

2023. 11. 07 주민설명회

2023. 12. 15 공청회

 

현재는 사업시행 준비 중이며,

25년 3월 17일 대의원회 개최 후 시공사 선정 계획안 의결,

21일 본격 입찰공고를 게재할 계획이었으나

공고문 상에 공사비 누락으로 인해서

대의원회 일정을 2주 연기한 3월 31일에 개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인근 아파트

 

장위 15구역 인근에는

동아에코빌과 래미안석관 아파트가 있지만

2003년식 2009년식의 구축이고

장위 4구역 재개발로

올해 입주 예정인 자이레디언트가 있습니다.

자이레디언트는

2,840세대 31개 동의

2025년 준공된 따끈한 신축

84기준

13억 원대 매매 실거래가 있습니다.

전세는 아직 실거래가는 없고

입주를 앞두고

전세 호가는 6억 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실거래 현황

3 - 4억 원대의

빌라 거래가 많이 있었습니다.

 

 

 

728x90

매물 / 시세 현황

전세를 끼고 매매를 할 경우

2 - 3억 원대로 투자 가능해 보입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9 (미국 기준)

2025.03.20(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연준, 금리 동결… 트럼프 불확실성 속 성장 둔화 및 인플레이션 상승 전망

- 연준은 2024년 세 차례 연속 금리인하 + 올해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하며 기준금리 4.25%~4.5%로 유지

- 정책 결정자들은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2025년 말 2.8%에 이를 것으로 예상

- 미국 경제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에서 1.7%로 하향 조정

- 실업률은 기존 4.3%에서 4.4%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

- 연준은 4월부터 국채 보유량 축소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발표

- 연준은 모기지담보증권(MBS) 축소 규모는 월 350억 달러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영향 평가 중 인플레이션 지연될 수 있다고 언급

 

반응형

  • 오늘의 주식 시장: 파월 의장이 월스트리트를 안심시키며 다우, S&P 500, 나스닥 선물 상승

  • 엔비디아, 보도에 따르면 합성 데이터 스타트업 그레텔 인수

  • 엔비디아와 GM,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 소프트뱅크, AI 중심의 65억 달러 규모 앰페어 컴퓨팅 인수

  • 아마존, 위험한 제품들의 리콜 명령을 둘러싸고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상대로 소송 제기

 

 

728x90

  • 2025.03.03(미국 기준) / 03.04(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 2025.03.03(미국 기준) / 03.04(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1.19%

임의소비재 : +1.92%

필수소비재 : 0.00%

에너지 : +1.63%

금융 : +1.10%

헬스케어 : +0.05%

산업 : +1.33%

소재 : +0.33%

부동산 : +0.12%

정보기술 : +1.30%

유틸리티 : +0.37%

  • 2025.03.19. A.M. 11: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964.63

S&P 500 : 5,675.29

나스닥 : 17,750.79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55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31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24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77

S&P VIX : 19.90

달러 인덱스 : 103.34

원달러 환율 : 1,457.87

엔달러 환율 : 148.28

유로달러 환율 : 1.0916

금 : 3,059.10

은 : 34.493

구리 : 5.1280

WTI 유가 : 67.29

비트코인(USD) : 86,015.0

이더리움(USD) : 2,026.11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룡동 1535번지 일대

모아타운

 

 

서울시/관악구/언론 보도 내용

청룡동 모아타운

면적 92,871m2

권리산정기준일은 22.10.27 입니다.

2023.12.21

청룡동 1535번지 일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계획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

전체 450동 중에서

노후불량 건물이 288동 (64.0%)을 차지합니다.

 

구역은

공동 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이 있는

사업추진구역 A1 - A3

주택 등의 사업 가능 구역 B1 -B7

A1 구역의 일부는 조합이 설립된 것 같습니다.

 

 

반응형

인근 아파트

청룡동 1535 모아타운

인근에는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 1차와 2차가 있습니다.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 1차는

총 22개동 1,531세대로

2019년에 준공되었습니다.

e편한세상서울대입구 1차의

매매가와 전세가입니다.

84기준으로 실거래가는

매매는 11 - 12억 대

전세는 6 - 7억 대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 2차는

총 10개동 519세대로

2020년에 준공되었습니다.

 

e편한세상서울대입구 2차의

매매가와 전세가입니다.

84기준으로 실거래가는

매매는 11중반 전후

전세는 6 - 7억 대

 

실거래 현황

 

시세 현황

네이버 부동산 기준으로

구축 빌라는 2 - 3억 대

신축은 4억 대

물건이 나와있습니다.

 
 

 

728x90

동네 모습

명성교회는 구역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A2구역과 맞닿아 있습니다.

명성교회 뒤편으로 오르막이 눈에 보입니다.

 

동네 이곳저곳의

오르막길과 오래된 빨간 벽돌집

 

봉림중학교까지 가는 길의

오르막이 상당합니다.

중학교 입구에서도 오르막입니다.

 

좁은 거리에 신축 빌라가

양쪽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편은 구역 외 상가지역이지만

오른편은 B5 구역 내 지역입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9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3.19 대책 #토지거래허가구역재지정

 

2025년 3월 19일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에 대해 관련 요약 및 원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목차

최근 주택시장 동향

시장 상황 평가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최근 주택시장 동향

1) 작년에 주택 0.20% 상승까지 15주 소요되었으나,

최근 7주 만에 도달할 정도로 굉장히 빠른 상승세 보임.

2) 강남 3구 중심에서 25년 2월 말부터 인근으로 확산.

3) 거래량 또한 작년 13주에 걸쳐 2천 건에 도달했으나,

최근에는 4주 만에 도달.

4) 강남 3구 진입 및, 갭투자 비율도 2월 크게 반등.

5) 2월 2주 저점 이후 매매수급지수 4주 연속 상승.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 또한 확대.

- 원문 -

 
반응형

 

시장 상황 평가

1) 25년 2월 토하제 해제로 인한 과열 조짐.

2) 상급자 상승에 따른 추격매수. 인근으로 확산

3) 금리 인하로 부동산 구매 부담 점차 감소

기준금리 작년 8월부터 3차례 인하

(3.50 → 2.75%), 조달금리도 3% 이하 하락

4) 시중은행 대출 규제 완화, 2월 가계대출 증가로 전환

5) 광의 통화량(M2) 확대 등 유동성 증가 및

상급지로 유입

6) 공사비 상승, 부동산 PF로 주택 공급 악화

- 원문 -

 

728x90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1) 토지거래허가구역 즉시 지정

대상 : 강남/서초/송파/용산 소재 전체 아파트

기간 : 25.3.24 - 25.9.30 (6개월간)

효력 : 3.24일부터 체결된 신규 매매 계약분부터 적용

2) 과열 양상 지속 시 인근 지 정도 적극 검토 예정

3)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신통 단지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유지

4)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 및 관리 방안 추진

5) 거래질서 확립을 위한 관리 조사 실시

6) 공급 기반 강화를 위한

정비 사업 속도 재고 위한 관련 법 제/개정 협의

+ 신축 매입 + 공공택지 미분양 발생분 매입확약

- 원문 -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8 (미국 기준)

2025.03.19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증시: 나스닥 하락 주도, 엔비디아 3% 이상 급락… 연준 결정 앞두고 기술주 급락 재개

  • 엔비디아, 'AI 추론 시대'를 위한 블랙웰 울트라 AI 칩 공개

  • 미국-러시아, 30일간 에너지 휴전 합의 후 유가 완화
 

반응형

 

  • 이스라엘, 국제적 비난에도 가자지구 공습 지속 방침 선언

  • 엔화 안정세, 달러 변동성… 트레이더들 BOJ·연준 결정 대기

  • 소식통 : 구글의 320억 달러 규모 위즈 인수 계약, 트럼프 정부 하에서 가속화

  • 소식통: 모건스탠리, 비용 절감을 위해 약 2,000명 감원 예정

  • 2025.03.18(미국 기준) / 03.19(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18(미국 기준) / 03.19(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1.40%

임의소비재 : -1.78%

필수소비재 : -1.14%

에너지 : +0.16%

금융 : -0.12%

헬스케어 : +0.05%

산업 : -0.80%

소재 : -0.17%

부동산 : -0.62%

정보기술 : -1.52%

유틸리티 : -0.69%

  • 2025.03.19. A.M. 10:5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581.31

S&P 500 : 5,614.66

나스닥 : 17,504.12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97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96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84

미국 2년 국채 금리 : 4.046

S&P VIX : 21.70

달러 인덱스 : 103.34

원달러 환율 : 1,450.78

엔달러 환율 : 149.53

유로달러 환율 : 1.0935

금 : 3,035.47

은 : 34.553

구리 : 5.0030

WTI 유가 : 66.50

비트코인(USD) : 83,217.0

이더리움(USD) : 1,940.21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VIX 지수

#주식투자타이밍 #변동성지수

주식 투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워하며,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두려움과 불확실성을 느끼곤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불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일까요?

그 중 하나가 바로 VIX 지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VIX가 무엇인지,

VIX의 역사적 흐름과 해석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VIX 지수란?

VIX 지수의 해석

2000년 이후의 VIX 지수 흐름

VIX 지수 확인하는 방법

 

VIX 지수란?

 

VIX(Volatility Index)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이며,

일반적으로 VIX 지수로 알려져있습니다.

1993년,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의뢰로

로버트 웨일리 교수에 의해

S&P 100 (OEX) 옵션을 기초로 개발되었습니다.

추후, 2003년 VIX의 계산 방식을 S&P 500 (SPX) 옵션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VIX(Volatility Index)지수

S&P 500 지수 옵션의 매도/매수 호가에서 암시된

향후 30일 동안의 S&P 500 지수 예상 변동성 수준을 측정합니다.

VIX 지수는

미래의 변동성을 예상하는 미래 예측 지표입니다.

‘변동성 지수’로도 불리며, 주식시장의 불확실성

또는 공포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VIX 값이 높을수록 시장이 불안하고, 변동성이 크며

VIX 값이 낮을수록 시장은 안정적입니다.

📌 요약

VIX (변동성 지수)

주식시장의 불확실성 및 공포를 나타내는 지표

시장의 위험 신호 및 급등락 가능성 예측에 도움

✔️ VIX 값이 클 때: 시장 불안, 변동성 큼

✔️ VIX 값이 작을 때: 시장이 안정적

반응형

VIX 지수의 해석

VIX 지수는

일반적으로 0에서 100 사이에서 변동합니다.

VIX 지수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 미만: 일반적으로 낮은 VIX로 간주됩니다.

이는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안일한 시기를 나타냅니다. 시장의 과대 평가(overvaluation)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고위험 자산에서 일부 이익을 실현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20-30: 중간 정도의 VIX로 간주됩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이 정상적인 수준임을 나타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균형 잡힌 리스크 인식을 시사합니다.

▪︎ 30 이상: 일반적으로 높은 VIX로 간주됩니다.

이는 시장에서 불확실성과 두려움이 증가한 시기를 나타냅니다. 역사적으로, VIX 수준이 30을 초과하는 경우는 종종 시장 조정이나 하락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40 이상: 높은 두려움과 불확실성을 나타냅니다.

역사적으로 이 수준은 중요한 시장 이벤트와 일치한 경우가 많습니다.

워렌 버핏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럽게 행동하라”

VIX 지수를 통해 시장의 두려움과 탐욕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2000년 이후의 VIX 지수 흐름

2000년 이후의

S&P 500 지수와 VIX 지수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차트를 가져와봤습니다.

▪︎ 자주색은 S&P 500 지수의 흐름

▪︎ 초록색은 VIX 지수의 흐름

 

차트 상에서 VIX 지수가 급등하고,

S&P 500 지수가 급락한 두 구간이 눈에 띄는데,

그 때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Global Financial Crisis)

: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과 함께 금융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급격히 무너졌고, 미국 및 세계 경제가 심각한 침체에 빠지며 주식시장이 대폭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 참여자들의 향후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VIX는 89.53까지 급등했습니다.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COVID-19 Pandemic)

: 코로나19 팬데믹의 확산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시장이 급락했습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급격히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며, 주식시장의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VIX는 82.69로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VIX 지수 확인하는 방법

VIX(변동성 지수)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원본 제공처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웹사이트

cboe.com 에서 VIX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Investing.com 이나 Yahoo Finance 등

금융 포털사이트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간단하게,

네이버에서 VIX를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VIX는 주식시장에서 변동성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공포와 탐욕을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VIX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장 지표와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서 성공적인 투자를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7 (미국 기준)

2025.03.18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미국 2월 소매 판매 전월 대비 0.2% 증가… 시장 예상치 0.6%를 하회
 

  • 오늘의 증시: 다우, S&P 500이 조정 구간에 진입한 후 두 번째 상승일을 맞아 350포인트 상승

반응형

 

  • 루미나, 라이다 기술이 탑재된 차량을 테스트 주행하며 올린 유튜브 영상 공개 후 주가 급등

  • 테슬라, 중국에서 자율주행 무료 체험 제공… 주가는 끊없이 하락중

  • 알파벳이 이스라엘의 위즈(Wiz) 인수를 다시 논의 중이며, 거래 규모는 300억 달러 이상으로 예상

  • BYD, 5분 만에 충전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공개

  • 이번주 주요 일정 :

- 3/17 - 3/21 : 엔비디아 주최하는 GTC 2025 컨퍼런스 개최

- 3/18 : 미국 2월 건축허가(잠정), 주택착공, 산업생산 발표

- 3/20 :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금리 결정 발표

  • 2025.03.17(미국 기준) / 03.18(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17(미국 기준) / 03.18(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0.71%

임의소비재 : +0.16%

필수소비재 : +1.46%

에너지 : +1.59%

금융 : +1.17%

헬스케어 : +1.27%

산업 : +1.38%

소재 : +1.26%

부동산 : +1.76%

정보기술 : +0.70%

유틸리티 : +0.42%

  • 2025.03.18. A.M. 10: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841.63

S&P 500 : 5,675.12

나스닥 : 17,808.66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93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300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93

미국 2년 국채 금리 : 4.048

S&P VIX : 20.51

달러 인덱스 : 103.46

원달러 환율 : 1,443.12

엔달러 환율 : 149.47

유로달러 환율 : 1.0917

금 : 3,011.42

은 : 34,493

구리 : 4.9875

WTI 유가 : 67.42

비트코인(USD) : 83,574.0

이더리움(USD) : 1,912.79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장이 과열되었을까?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

#주식시장과열신호 #주식투자전략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가장 어려운 고민 중 하나는

"언제 매도하지?" 아닐까 생각합니다.

주식이 계속 오를 것처럼 보이지만,

혹시 지금이 거품이 낀 상태는 아닐까?

이런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인 '버핏 지수'

이번 블로그에서 다루어보겠습니다.

 

반응형

버핏 지수 의미
 

버핏 지수는

시장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식시장 전체 시가총액을

GDP(국내총생산)로 나눈 값입니다.

 

워런 버핏

다음과 같이 언급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시장이 고평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최고의 단일 지표"

버핏 지수 해석 방법

▪︎ 85% 이하

: 주식시장이 상당히 저평가된 상태

▪︎ 86 -109%

: 주식시장이 약간 저평가된 상태

▪︎ 110% - 134%

: 주식시장이 적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상태

▪︎ 135% - 158%

: 주식시장이 약간 고평가된 상태

▪︎ 159% 이상

: 주식시장이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

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728x90

 

버핏 지수 확인하는 방법

버핏 지수는 여러 금융, 투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 한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구루 포커스GuruFocus

https://www.gurufocus.com/stock-market-valuations.php

주식, 채권, 펀드 등 다양한 금융 자산에 대한 분석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단 빨간색 박스에 현재의 상태에 대해서

간략히 언급이 되어있습니다.

영어 부분은 간단히 복사해서

번역기로 돌려보면 됩니다.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리면,

다음과 같은 표가 보입니다.

마우스 커서를

표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시키면

오늘의 버핏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핏 지수 = TMC/GDP

💡 TMC란?

TMC = Total Market Cap

즉,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입니다.

💡 TMC/GDP+Total Assets of Fed란?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을

GDP와 연준인 Fed에서 보유한 자산까지 합친 금액으로 나눈 값입니다.

2025.3.17 기준

버핏 지수는 189.3%를

연준의 자산까지 합쳤을 때는 154.2%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년 평균은 121.64%이고요.

지수의 해석에 따르면,

시장은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투자에 있어 중요한 것은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버핏 지수를 활용하면

매수/매도의 적절한 타이밍을

찾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어떤 지표도 100% 정확하지 않으므로,

단순히 숫자에 의존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시장 흐름과 함께 고려하셔서

성공적인 투자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주식 투자 타이밍, VIX 지수 활용

​VIX 지수#주식투자타이밍 #변동성지수​주식 투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워하며, 투자 결정

byemoney.tistory.com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서울시

무료 경제 강좌 및 재무상담

#서울영테크 #서울시청년정책

경제가 삶에서 중요한 건 알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재테크, 저축, 투자… 알아야 할 것도 많고,

혼자 공부하기엔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이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을 위해,

서울시에서

무료 재무 상담과 경제 교육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유용한 기회를 소개해드릴게요!

서울영테크 소개

서울영테크

청년들에게 올바른 재테크 지식을 심어주기위해

상담과,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자산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

해주는 서울시 대표 청년정책입니다.

지난 3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된 서울영테크 2.0

3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친된다고합니다.

반응형

서울 영테크 프로그램

 

 

서울 영테크의 프로그램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맞춤 재무상담

2. 영테크 클레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영테크 재무상담

영테크 재무상담

현직 재무설계사가 1:1로 진행하며

소득지출관리, 투자상담,

금융상품분석, 신융부채관리등

맞춤 재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영테크 1차 진행 결과

2년 이상 재무 상담을 받은

참여자 총 1,069명을 조사했을 때,

저축‧투자는

첫 상담 대비 24% 늘었고,

총자산은 39.1%증가

(1억 170만원→1억 4,140만원)

순자산은 44.8% 증가

(6,470만원→9,367만원)

실질적인 자산증식 효과도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신청기간

3월 31일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고 하니

관심있다면 달력에 표시!

그리고

서울영테크 누리집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s://youth.seoul.go.kr/youngtech/

728x90

영테크 클래스

 

영테크 클래스

만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실용적인 금융정보와

올바른 금융습관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금융교육을 제공합니다.

매주 화요일목요일에는

오프라인 교육이 진행되며,

매월 마지막 주 월요일에는

온라인 실시간 교육이 진행됩니다.

교육수강생 선정

선착순 70% , 무작위30% 선정으로 진행되며,

선정 결과는

모집 마감 후

다음 날 서울 알림톡으로 개별 통지됩니다.

 
 

🗓️ 영테크 클래스 2025 교육일정

총 9개의 주제로 교육을 진행됩니다.

(9개 주제: 청년재무, 청년투자, 부동산, 은퇴설계, 생활경제, 세금설계, 신용관리, 금융상품, 금융사기)

각 강좌의 난이도가

레벨 1, 2, 3으로 표시 되어있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강의를 선정하여 들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연간 교육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집공고

영테크 클래스는

거의 매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4월 1,2주차 교육 수강이 공고되었고

수강생 모집중에 있습니다.

모집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3.15 (토) 10:00 부터

2025.03.20 (목) 16:00 까지

서울영테크 누리집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https://youth.seoul.go.kr/youngtech/

마무리

 

이런 유용한 무료 혜택을 잘 활용하면,

막연했던 재테크와 재무 관리가

한층 수월해질 거예요.

작은 배움이 모여 큰 변화로 이어지듯,

이번 기회를 발판 삼아

더 탄탄한 경제적 미래를 준비해보세요! 🚀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매월 월세처럼 들어온다고?

월배당 미국 ETF

#JEPI #QYLD

일하지 않아도 월급처럼, 월세처럼 돈이 들어온다면?

많은 투자자들이 꿈꾸는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월 배당 ETF입니다.

보통 주식 배당은 분기별로 지급되지만,

매월 배당을 주는 ETF를 활용하면

마치 월세를 받듯이 정기적인 수익을 만들 수 있죠!

오늘은 대표적인 월 배당 ETF 두 가지,

JEPI와 QYLD를 소개해 드립니다.

매월 배당 주는 미국 ETF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JEPI)

JEPI는

JPMorgan이 운용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S&P 500 지수에 포함된 주식들에 주로 투자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 펀드는 주식 포트폴리오와 함께 주식 연계 증권(ELNs)과 콜 옵션을 활용하여 배당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취합니다.

 

📌 요약 정보

펀드 운용사: JPMorgan

순자산: 402.1억 달러

평균 거래량 (3개월): 4,261,222

배당금 (TTM): 3.9312

배당수익률: 7.00%

시가총액: 384억 달러

배당 지급일: 매월 배당 (월 배당 ETF)

📌 상위 10개 보유 종목

(총자산의 15.52%)

이 ETF는 저변동성 대형주에 분산투자하기 때문에

특정 기업에 집중 투자하지 않습니다.

상위 10개 보유 종목에는

비자, 마스터카드,

보험회사 프로그레시브 코퍼레이션

제약회사 애브비 등이 있습니다.

📌 섹터 비중

기술, 헬스케어, 금융, 산업, 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QYLD)

QYLD는

Global X Funds이 운용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NASDAQ-100 지수에 포함된 주식들을 보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달 만기 커버드 콜 옵션을 매도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ETF입니다.

NASDAQ-100 지수는 기술주 중심의 지수로, QYLD는 이를 통해 시장 상승 외에도

배당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합니다.

 

📌 요약 정보

펀드 운용사: Global X Funds

순자산: 87.9억 달러

평균 거래량 (3개월): 7,107,794

배당금 (TTM): 1.98

배당수익률: 11.95%

시가총액: 82억 달러

배당 지급일: 매월 배당 (월 배당 ETF)

📌 상위 10개 보유 종목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서학 개미들의 사랑을 받는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넷플릭스 등

대형 기술주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위 10개 기업이,

총자산의 49.3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728x90

📌 섹터 비중

이 ETF의 섹터별 비중을 살펴보면,

기술 분야가 51.28%를 차지하고

알파벳, 메타, 넷플릭스가 포함된

커뮤니케이션 분야가 15.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ETF 비교

📌 JEPI vs. QYLD, 어떤 ETF를 선택할까?

▪︎ 안정적인 배당과 낮은 변동성을 원한다면? → JEPI

▪︎ 더 높은 배당과 기술주 투자를 원한다면? → QYLD

마무리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ETF는

월급처럼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JEPI

S&P 500 우량주와 옵션 전략을 활용해

약 7%의 안정적인 배당을 제공합니다.

📌 QYLD

NASDAQ-100 기술주를 기반으로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해 약 12%의 높은 배당을 지급합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4 (미국 기준)

2025.03.15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증시: 다우·S&P 500 급등, 나스닥 11월 이후 최고의 하루 기록하며 변동성 높은 한 주 마무리

  •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 57.9, 예상치 63.1,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소비자 심리 2022년 이후 최저, 3개월 연속 하락세
  • 향후 1년동안 인플레이션 기대치 : 소비자들은 앞으로 4.9% 상승할 것으로 예상, 전월 4.3% 대비 상승
 
반응형

  • 인텔의 신임 CEO(전 인텔 이사회 멤버)인 립부 탄(Lip-Bu Tan), 기본 연봉으로 100만 달러 수령 예정

  • 테슬라, 보복 관세로 미국 제조업체에 피해 가능성 제기

  • BMW, 미국의 보복 관세로 10억 유로 손실 예상, 유럽은 트럼프의 무역 전쟁이 미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

  • 트럼프, 무역전쟁 속 에너지 생산 논의 위해 석유업계 거물들과 회동 예정

  • 미국의 대형 백화점 체인인 콜스, 트럼프의 DEI 정책 철회 압박에 따라 DEI 책임자 직책 변경 및 공급업체 다양성 프로그램 확대.

  • 2025.03.14(미국 기준) / 03.15(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14(미국 기준) / 03.15(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1.83%

임의소비재 : +2.13%

필수소비재 : +0.23%

에너지 : +2.96%

금융 : +2.32%

헬스케어 : +0.76%

산업 : +1.82%

소재 : +1.31%

부동산 : +1.94%

정보기술 : +3.02%

유틸리티 : =1.95%

  • 2025.03.15. A.M. 6:4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487.79

S&P 500 : 5,638.77

나스닥 : 17,754.09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627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316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93

미국 2년 국채 금리 : 4.021

S&P VIX : 21.77

달러 인덱스 : 103.74

원달러 환율 : 1,451.05

엔달러 환율 : 148.64

유로달러 환율 : 1.0879

금 : 2,993.60

은 : 34.365

구리 : 4.8820

WTI 유가 : 67.18

비트코인(USD) : 84,426.0

이더리움(USD) : 1,919.02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힐스테이트 광교중양역 퍼스트

#무순위 청약 #로또줍줍 #무순위줍줍

5억 원 시세차익 로또줍줍

인근아파트시세현황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 소개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는

현대건설에서 지은

총 20층 규모, 4개 동, 211세대의

주상복합 단지입니다.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바로 앞 초역세권이며,

인근에 경기도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청약 주요 정보

 

1. 무순위(사후)

비규제지역

재당첨제한 없음

전매제한 없음

거주의무기간 3년

분양가상한제 적용

2. 계약취소주택

비규제지역

거주요건 수원시 거주자

재당첨제한 10년

전매제한 없음

거주의무기간 3년

분양가상한제 적용

청약일정

1. 무순위(사후)

입주자모집공고일 : 25.03.12(수)

일반공급 청약 접수일 : 25.03.17(월)

당첨자발표일 : 25.03.20(목)

서류접수 : 25.03.21(금)

계약체결 : 25.03.27(목)

2. 계약취소주택

입주자모집공고일 : 25.03.12(수)

일반공급 청약 접수일 : 25.03.17(월)

당첨자발표일 : 25.03.20(목)

서류접수 : 25.03.21(금)

계약체결 : 25.03.27(목)

공급대상

1. 무순위(사후)

전용면적 69.92m2

1세대

2. 계약취소주택

전용면적 84.56m2

1세대

728x90

 

공급금액

1. 무순위(사후)

69.92m2

103동 402호

분양금액 : 774,300,000원

계약금 : 154,860,000원 (20%)

2. 계약취소주택

84.56m2

103동 504호

분양금액 : 936,200,000원

계약금: 187,240,000원 (20%)

청약 자격

 

1. 무순위(사후)

국내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거주지와 상관이 없습니다.

2. 계약취소주택

수원시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주

인근 아파트 시세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

인근의 아파트 시세를 알아보겠습니다.

인근의 30평대 가격은

광교푸르지오 주상복합은 13억 대

자연앤힐스테이트는

동과 층마다 차이가 보이지만

30평대 14 ~ 16억 대입니다.

안전마진

인근 아파트의 30평대

시세 15억 원을 기준으로 한다면,

5억 원대 마진을

가져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3 (미국 기준)

2025.03.14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주식 시장: S&P 500, 조정 국면 진입… 트럼프의 최신 관세 위협 속 다우 500포인트 급락

  • 2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0.0%, 예상 0.3% 이전 0.6%

  • 2월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0.1%, 예상 0.3% 이전 0.5%
 

반응형
  •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 22만 건, 예상치 22.5만 건, 직전 22.2만 건

  •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 : 187만 명, 예상치 190만 명, 직전 189.7만 명 (200만명 넘어서면 노동 시장 둔화 암시, 아직은 탄탄한 상태)

  • 월가 하락… 트럼프, 프랑스 와인에 200% 관세 위협

  • 애플, 실시간 대화 번역 기능 탑재한 에어팟 계획

  • 소비자들의 절약 소비 증가로 달러 제너럴·달러 트리 주가 상승

  • 피트니스 브랜드 운영하는 엑스포텐셜 피트니스, 4분기 매출 예상 상회했지만 주가 19.8% 급락

  • EV 충전 인프라 기업 블링크 차징, 2024년 4분기 매출 월가 예상치 하회… 전년 대비 29.3% 감소

 

728x90

  • 2025.03.13(미국 기준) / 03.14(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 2025.03.13(미국 기준) / 03.14(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2.06%

임의소비재 : -2.50%

필수소비재 : -0.46%

에너지 : -0.68%

금융 : -0.55%

헬스케어 : -0.53%

산업 : -1.02%

소재 : -0.07%

부동산 : -1.95%

정보기술 : -1.90%

유틸리티 : +0.25%

  • 2025.03.14. A.M. 7:2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0,814.12

S&P 500 : 5,521.17

나스닥 : 17,303.01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92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79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28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57

S&P VIX : 24.66

달러 인덱스 : 103.83

원달러 환율 : 1,453.66

엔달러 환율 : 147.87

유로달러 환율 : 1.0854

금 : 2,996.70

은 : 34.455

구리 : 4.9210

WTI 유가 : 66.84

비트코인(USD) : 81,068.0

이더리움(USD) : 1,865.71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미국의 썸머타임,

미국 증시 개장 폐장 시간

#미장개장시간 #미장폐장시간

 

이번주 미국 증시 개장과 폐장 시간이 바뀌면서

혼란을 겪으셨나요?

시간 변동은

미국의 썸머타임 제도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의 썸머타임제도가 무엇인지,

미국 증시의 개장과 폐장 시간이 어떻게 변했는지,

한국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썸머타임이란?

미국에서는 매년 일정 기간 동안

썸머타임을 시행합니다.

썸머타임은 여름철에

일광을 더 활용하기 위해

표준시간을 1시간 앞당기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과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미국의 썸머타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썸머타임 시작:

3월 둘째 일요일 새벽 2시 → 새벽 3시로 변경

(1시간 앞당김)

✔️ 썸머타임 종료:

11월 첫째 일요일 새벽 2시 → 새벽 1시로 변경

(1시간 원래대로)

 

썸머타임이 시작되면 시계가 1시간 빨라지므로,

미국에서 생활하거나

미국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은

이에 따른 시간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썸머타임으로 인한

증시 개장, 폐장 시간 변경

 

미국의 증시는 썸머타임 적용 여부에 따라

개장 및 폐장 시간이 달라집니다.

한국에서 미국 증시를 거래하는 투자자라면

썸머타임이 시작되면 증시 개장 시간이

1시간 앞당겨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서머타임 적용 전 (한국 기준)

정규장: 오후 11시 30분 ~ 다음날 오전 6시

프리마켓: 오후 6시 ~ 오후 11시 30분

애프터마켓: 오전 6시 ~ 오전 8시

✔️ 서머타임 적용 후 (한국 기준)

정규장: 오후 10시 30분 ~ 다음날 오전 5시

프리마켓: 오후 5시 ~ 오후 10시 30분

애프터마켓: 오전 5시 ~ 오전 7시

즉, 서머타임이 시작되면 미국 증시 개장 시간이 한국 기준으로 1시간 앞당겨지므로, 투자자들은 이에 맞춰 거래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

728x90

2025년 미국 썸머타임 한국 시간 적용

올해 미국의 서머타임 적용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썸머타임 시작:

2025년 3월 9일(일)

새벽 2시 → 새벽 3시 (미국 현지 기준)

✔️ 썸머타임 종료:

2025년 11월 2일(일)

새벽 2시 → 새벽 1시 (미국 현지 기준)

한국 시간 기준으로는

2025년 3월 10일(월)부터 변경

개장 오후 10시 30분

폐장 오전 5시

마무리

 

썸머타임은 미국의 경제 및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해외 투자자들에게는

증시 개장·폐장 시간의 변화로 인해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5년 3월 10일부터 한국 시간 기준으로

미국 증시 개장/폐장 시간이 변경되었으므로,

염두해두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2 (미국 기준)

2025.03.13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월 기준 전년 대비 2.8% 상승. 시장 예상치 2.9% 하회. 1월보다 둔화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월 기준 전월 대비 0.2% 상승. 시장 예상치 0.3% 하회. 1월보다 둔화
 

  • 소비자 물가지수 세부 항목

- 2월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1월(0.5% 상승)보다 둔화되며 보합세이나 주요 식품군은 상승세.

- 특히 계란 가격은 전년 대비 무려 59% 상승.

- 의료비, 노인 돌봄 및 건강보험 비용 상승.

- 자동차 보험료도 두 달 연속 0.3% 상승. 전년 대비 약 11% 증가

반응형

  • 오늘의 증시: 기술주 랠리에 힘입어 나스닥과 S&P 500 상승, 테슬라·엔비디아 CPI 둔화 소식에 급등

  • 캐나다, 트럼프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보복 조치 발표

  •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판매하는 솔로 브랜즈는 2024년 4분기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주식 급락.
728x90

  • 2025.03.12(미국 기준) / 03.13(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 2025.03.12(미국 기준) / 03.13(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0.40%

임의소비재 : +0.47%

필수소비재 : -2.22%

에너지 : +0.70%

금융 : +0.20%

헬스케어 : -0.97%

산업 : +0.09%

소재 : -0.40%

부동산 : -0.30%

정보기술 : +1.33%

유틸리티 : -0.26%

  • 2025.03.13. A.M. 5:3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350.81

S&P 500 : 5,596.27

나스닥 : 17,648.45

미국 30년 국채 금리 4.635: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318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75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93

S&P VIX : 24.16

달러 인덱스 : 103.57

원달러 환율 : 1,450.71

엔달러 환율 : 148.31

유로달러 환율 : 1.0892

금 : 2,941.61

은 : 33.718

구리 : 4.8465

WTI 유가 : 67.69

비트코인(USD) : 82,972.0

이더리움(USD) : 1,879.08

 

 

25년 3월 24일 부터 반영되는 S&P 500 편입 기업, 편출 기업 4곳

​25년 3월 24일 S&P 500 편입 기업, 편출 기업 4곳​주식시장에서 S&P 500 지수의 구성 변화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특정 기업이 S&P 500에 편입된다는 것은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와 더

byemoney.tistory.com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녀장려금

#지원대상 #신청조건

#지급액

현대 사회에서 자녀를 키우는 일이

점점 더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 양육과 교육비용을 충당하기 어려운 가정에게는 정부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러한 정부 지원정책 중 하나인

자녀장려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장려금이란?

 

자녀장려금

저소득층 가구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정부의 경제적 지원금입니다.

가구의 소득 수준과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자녀 양육의 부담을 덜어주고

가정의 경제적 안정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급액

 

소득 구간과 가구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자녀 한 명당 최대 100만원이 지급됩니다.

가령,

다음의 경우에는 자녀 수에 따라

최대 금액이 지급됩니다.

홑벌이가구의 총소득이 2100만원 이하

맞벌이가구의 총소득이 2500만원 이하

 
반응형

 

신청 자격

자녀장려금의 경우

홑벌이가구 또는 맞벌이가구이어야 하고,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18세 미만의 부양자녀 보유

(중증장애인은 연령제한 없음)

2) 소득요건 : 소득이 7,000만원 미만

3) 재산요건 : 재산합계액이 2.4억원 미만

위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도

아래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자녀장려금을 신청할 수 없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위 요건에서

단독가구/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 등

가구원 구성의 정의는 다움과 같습니다.

총소득과 총 급여액의 차이

사업소득을 산출할 때의 업종별 조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청 기간

 

 

근로소득만 있는 자

반기 신청과 정기 신청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고,

사업 또는 종교인 소득이 있는 자

정기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24년 하반기 근로소득자의 신청 시기

25. 3. 1 ~ 3. 17입니다.

24년 연간 소득이 있는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자의 신청 시기

25. 5. 1 ~ 6. 2입니다.

 

728x90

신청 방법

1. ARS 전화 신청(1544-9944)

이용 시간 6:00 - 24:00

2. 홈택스(모바일, PC) 신청

3. 서면/모바일 안내문 상의 QR코드나 안내문상에 신청 클릭

4. 신청 대리

이용 시간 평일 9:00 - 18:00 (주말, 휴일 제외)

안내 대상자가 동의하면

장려금 상담 센터(1566-3636) 상담사나

세무서 직원이 신청 대리

5. 자동 신청 제도

신청 안내 대상자가 사전 동의하면

향후 2년간 안내 대상에 선정될 경우

장려금이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유의사항

자녀장려금 제도는

꼭 필요한 사회 계층을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허위 신청자에 대해

지급한 장려금을 환수하고 지급 제한을 하는 등의

불이익이 있으니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 환수액 :

지급액 + 가산세(1일 22/100,000)

▪︎ 지급 제한 :

고의 또는 중과실인 경우 2년,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인 경우 5년

마무리

자녀장려금은

자녀 수와 소득에 따라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로,

신청 자격에 부합한다면

이를 활용하여

가정의 경제적 안정에 보탬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 근로장려금 ⬇️⬇️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5년 3월 24일

S&P 500 편입 기업,

편출 기업 4곳

주식시장에서 S&P 500 지수의 구성 변화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특정 기업이 S&P 500에 편입된다는 것은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와 더불어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제외되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시장의 주목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번 2025년 3월 24일을 기점으로

S&P 500 지수에 몇 가지 변화가 생깁니다.

어떤 기업이 편입되고,

어떤 기업이 편출되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S&P 500 편입 기업 4곳

S&P 500 편출 기업 4곳

S&P 500 편입 기업



DoorDash (DASH)​

 

🏢 기업 소개

DoorDash는 미국 최대 음식 배달 서비스 기업 중 하나로, 레스토랑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 상장 시기

2020년 12월 9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 최근 행보

▪︎ AI 기반 주문 최적화 기능을 도입하며

서비스 품질을 개선

▪︎ 미국 내 배달 시장 점유율 65% 돌파

▪︎ 배달료 및 멤버십 서비스 조정을 통해

수익성 개선 추진

TKO Group Holdings (TKO)

🏢 기업 소개

TKO Group Holdings는 WWE(프로레슬링)와 UFC(격투기)를 운영하는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업입니다.

🚀 상장 시기

2023년 9월 1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 최근 행보

▪︎ WWE와 UFC 합병 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글로벌 마케팅 확대

▪︎ WWE 방송 계약 연장 및 UFC PPV(유료 시청) 모델 개선 추진

▪︎ 경쟁 프로모션과 차별화된 이벤트 기획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중

반응형

 

Williams-Sonoma (WSM)

 

🏢 기업 소개

고급 가정용품 및 가구 브랜드로, Pottery Barn, West Elm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상장 시기

1983년 7월 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 최근 행보

▪︎ 지속 가능한 제품 생산 확대 및 친환경 소재 도입

▪︎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온라인 매출 증가

▪︎ 미국 내 주택 시장 변화에 따른 수요 변동성 대응 전략 추진

Expand Energy (EXE)

🏢 기업 소개

에너지 산업에서 신재생 에너지 기술을 개발 및 공급하는 기업으로,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솔루션 제공합니다.

🚀 상장 시기

2018년 5월 15일, 나스닥(NASDAQ)에 상장

✔️ 최근 행보

▪︎ 주요 전력 회사들과 장기 공급 계약 체결

▪︎ 배터리 저장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728x90

S&P 500 편출 기업

S&P 500에 네 개의 기업이 편입되었으니,

네 개의 기업도 편출이 되었겠죠?

다음은

이번에 편출된 네 개의 기업입니다.

▪︎ BorgWarner (BWA):

자동차 부품 및 파워트레인 시스템 제조업체

▪︎ Teleflex (TFX):

의료 기기 및 기술 기업

▪︎ Celanese (CE):

화학 및 특수 소재 기업

▪︎ FMC (FMC):

농업 화학 및 작물 보호 제품 제조업체

마무리

 

이번 S&P 500 변경에서 주목할 점은

기술·플랫폼 기반 소비자 서비스(DoorDash)

스포츠 엔터테인먼트(TKO Group)

고급 생활용품(Williams-Sonoma)

신재생 에너지(Expand Energy)

같은 다양한 산업이 포함되었다는 것입니다.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기업들이 편입된 만큼,

앞으로의 주가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1 (미국 기준)

2025.03.12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주식시장: 트럼프의 최신 관세 위협 속 다우·S&P 500 하락 주도

  • 백악관은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가 3월 11일(수요일)부터 발효된다고 확인

  • 1월 말 기준 미국의 구인 건수는 23만 2천 건 증가하여 774만 건을 기록하며 견조한 노동시장 신호

  • 델타·에어비앤비, 소비자 우려 속 여행주 급락 주도
 

  • 보잉, 2월 인도량 전년 대비 63% 증가

  • Kohl’s 주가 급락… 매출 감소 및 실적 전망 기대 이하

 

반응형

  • 슈퍼마이크로 주가 화요일 급등, 최근 변동성 지속, AI 주식 상승 속 S&P 500 선도

  • 테슬라 주가 반등… 5년 만의 최악의 하루 이후 모건스탠리 "저가 매수" 의견

  • 씨티: 트럼프 정부 아래 미국의 예외주의 중단… 중국 주식 매수 추천

  • 2025.03.03(미국 기준) / 03.04(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728x90

  • 2025.03.11(미국 기준) / 03.12(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1.47%

임의소비재 : -0.98%

필수소비재 : -1.46%

에너지 : -0.79%

금융 : -0.85%

헬스케어 : -1.09%

산업 : -1.54%

소재 : -0.77%

부동산 : -1.05%

정보기술 : -0.41%

유틸리티 : -0.93%

  • 2025.03.12. A.M. 9: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432.87

S&P 500 : 5,571.95

나스닥 : 17,436.10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598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280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35

미국 2년 국채 금리 : 3.945

S&P VIX : 26.92

달러 인덱스 : 103.45

원달러 환율 : 1,453.64

엔달러 환율 : 148.12

유로달러 환율 : 1.0913

금 : 2,920.90

은 : 33.303

구리 : 4.7895

WTI 유가 : 66.61

비트코인(USD) : 82,974.0

이더리움(USD) : 1,917.20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미국 증시 망했다?!?

시장 분위기와 투자 대안은?

최근 미국 증시는 연일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특히 월요일(미국 기준 3/10, 한국 기준 3/11)에는

역대급 하락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을 공포로 몰아놓고 있으며,

투자 전략을 재점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장의 반응과 어떤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지

다루어보겠습니다.

 

시장의 분위기

트럼프 대통령은 25년 3월 10일 방송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경제가 올해 경기 침체를 겪을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우리가 하는 일은 매우 큰 일이라 전환기가 필요하다. 우리는 미국으로 부를 되돌리고 있다. 그건 큰 일이다… 시간이 좀 걸리지만 결국 우리에게는 좋을 것"이라며, 미국의 성장을 위한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서 일정한 출혈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미국 증시는

현재 지옥을 달리고 있는 분위기이고요.

 

동학 개미의 사랑을 받는

대표적 성장주 7개인 매그니피센트도 대거 하락,

특히 테슬라는 하루만에 -15.43% 급락했습니다.

일찍이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4년 4분기에 S&P 500 ETF인 Vanguard S&P 500 ETF(VOO)와 SPDR S&P 500 ETF Trust 등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모두 매도하며, 현재의 증시 상황을 미리 예견한 것 같습니다.

Bank of America의 전략가 마이클 하트넷은 올해 2월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S&P가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워질수록 의구심은 커진다"라며 “유럽은 잘 되고 있고, 중국도 잘 되고 있으며, 심지어 미국의 채권도 잘 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2월 정점에 이른 과열 상태의 미국 증시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했었습니다.

3월 10일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2025년 미국 경제 성장 전망치를 기존 2.4%에서 1.7%로 하향 조정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부정적이라는 판단을 했습니다.

3월 10일 로이터에 따르면, HSBC는 월요일 미국 주식의 등급을 하향 조정하며, 관세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언급했습니다. 동시에 독일의 재정 개혁 완화에 따른 유럽 주식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증시의 낙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많은 기관들이 미국의 성장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다른 투자처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대안은..?

이러한 미국 증시의 암울한 상황 속에서,

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유럽시장

 

위에서 한번 언급했듯이, HSBC는 미국 주식의 등급을 '중립'으로 낮추고, 유럽 주식에 대한 평가를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을 했으며,

MFS 자산운용의 로버트 알메이다 전략가는 “유럽 기업들은 미국보다 실적 변동성이 낮기 때문에 확실히 더 매력적”이라고 진단,

BCA 리서치의 다발 조시 수석 전략가도 “미국, 중국과 달리 유럽에는 거품이 없다"라며 “향후 몇 년간 장기 투자자들에게 유럽은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월가에서는 유럽시장을 대안으로 보는 기관이 있습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유럽 관련 ETF 2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iShares MSCI Germany ETF (티커 EWG)

EWG는

독일 대형주 및 중형주에 투자하는 ETF로,

미국 시장에서 2000년에 출시되었습니다.

독일의 주요 상장 기업들을 포함하는 지수인

MSCI Germany Index를 추종합니다.

주요 종목으로는 BMW, SAP, 지멘스 등

독일의 주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기는 올해의 주가 흐름입니다.

올해 18.76%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 iShares MSCI Eurozone ETF (티커 EZU)

EZU는

유로존 국가들에 상장된 대형주에 투자하는 ETF로, 미국 시장에서 2006년에 출시되었습니다.

유로존 경제에 직접 투자하며, 주요 국가들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주식을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하기는 올해의 주가 흐름입니다.

올해 15.08%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728x90

 

중국 시장

 

 

미국 경기 침체와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중국 증시가 상대적으로 더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골드만 삭스는 미국의 변동성 속에서 중국 H 주식(홍콩 상장)과 A 주식(중국 본토 상장)에 대해 비중을 확대할 것을 권장하며, 최근 중국 기술 분야에서의 발전이 주요 변화 요소라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딥시크 출시를 기반으로 한 중국 시술 주식의 상승, 저평가된 주식을 이유로, 중국 시장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올해 MSCI 중국 지수는 선진 시장과 신흥 시장을 각각 10% 이상 초과하는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중국 관련 ETF 2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iShares MSCI China ETF (티커 MCHI)

MCHI는

2011년 미국 증시에 출시되었으며,

중국의 주요 상장 기업들을 포함하는 지수인

MSCI China Index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텐센트, 알리바바 등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하기는 올해의 주가 흐름입니다.

올해 16.70%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Global X MSCI 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TF (티커 KWEB)

KWEB는

2008년 미국 증시에 출시되었으며,

중국의 정보기술(IT)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MSCI China Information Technology Index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미국 나스닥을 추종하는 ETF인 QQQ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ETF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들은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징동 닷컴, 핀두오두오 등국의 주요 기술 기업들입니다.

하기는 올해의 주가 흐름입니다.

올해 21.64%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미국 증시의 불확실성과 침체 우려 속에서,

유럽과 중국 시장은 성장 가능성과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미국 시장이 공포와 불확실성 속에서

과도하게 매도되었다는 시각도 존재하며,

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향후 시장의 변동을 지켜보며,

각국의 경제 상황과 투자 기회를 잘 파악하시고,

성공적인 투자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10 (미국 기준)

2025.03.11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오늘의 주식 시장: 2022년 이후 최악의 하루 기록, 나스닥 선물 하락

  • 엔비디아, 테슬라 급락… '매그니피센트 7' 종목들이 월요일 시장 하락 주도

  • 테슬라 주가 15% 이상 급락, 선거 이후 상승분 모두 반납… 수요 우려 지속
 

  • 오라클 실적발표, 매출 전년 대비 6.4%증가, 주당순이익(EPS) 전년 대비 4.3%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보다는 매출과 EPS가 -1.59%, -0.68% 하회.

  • 관세 영향에 대한 우려 확산으로 유가 소폭 하락

  • 골드만삭스, 미국 경제 전망 대폭 하향… 관세 영향 ‘상당히 악화’
반응형

  • 주식 시장 급락, 트럼프의 관세와 경기 침체 우려에 투자자들 불안감 증대

  • 2025.03.10(미국 기준) / 03.11(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 2025.03.10(미국 기준) / 03.11(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2.49%

임의소비재 : -3.57%

필수소비재 : -0.22%

에너지 : +0.74%

금융 : -2.24%

헬스케어 : -1.08%

산업 : -1.56%

소재 : -2.08%

부동산 : -0.97%

정보기술 : -4.25%

유틸리티 : +1.10%

728x90

  • 2025.03.11. A.M. 10: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1,911.71

S&P 500 : 5,614.56

나스닥 : 17,468.32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494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152

미국 5년 국채 금리 : 3.907

미국 2년 국채 금리 : 3.832

S&P VIX : 27.86

달러 인덱스 : 103.76

원달러 환율 : 1,457.39

엔달러 환율 : 146.70

유로달러 환율 : 1.0848

금 : 2,885.05

은 : 32.270

구리 : 4.6303

WTI 유가 : 65.34

비트코인(USD) : 77,503.0

이더리움(USD) : 1,800.64

시장 상황이 계속해서 경기 침체와 관세 우려로 좋지 않은 흐름이네요.

투자는 항상 좋은 시기만 있는 건 아니니까,

이런 때는 잠시 쉬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공시지가, 공시가격,

공동주택가격 확인하는 방법

#공시지가 #공시가격

#공동주택가격 #공주가

부동산 시장에서 공시지가와 공시가격은

부동산 거래 시 적정 가치를 평가하고,

세금 부담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공시지가와 공시가격의 정의

그리고

인터넷과 모바일로 확인하는 방법을

다루어보겠습니다.

목차

개별 공시지가

개별 단독주택공시가격

공동주택공시가격

공시지가/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

공시지가/공시가격 정의

 

개별 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결정/공시한 매년 1월 1일 기준 개별토지의 단위면적(m2) 당 가격

국세/지방세 등 각종 세금의 부과, 건강보험료 산정,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 부과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토지가격비준표를

적용하여 산정한 후 시/군/구 부동산가격 공시위원회의 심의 등 절차를 거쳐 매년 5월 말에 공시하는 개별토지 가격(매년 1월 1일 기준)입니다.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이란

매년 국토교통부 장관이 결정/공시하는 표준단독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시장/군수/구청장이 조사한 개별주택의 특성과 비교표준단독주택의 특성을 상호/비교하여 산정한 가격에 대하여, 한국부동산원의 검증을 받은 후 주택 소유자 등의 의견수렴과 시/군/구 부동산가격 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장/군수/구청장이 결정/공시하는 가격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 등 국세 및 지방세의 부과기준,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제도의 검증 가격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공동주택공시가격

공동주택공시가격이란

국토교통부 장관이 「부동산 가격 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공동주택에 대하여 매년 공시기준일(1월 1일) 현재의 적정가격을 조사·산정하여 중앙부동산평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시하는 가격

공동주택의 국세 및 지방세 부과기준 및

건강보험료 산정, 기초노령연금, 재건축 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 등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반응형

 

공시지가/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

 

인터넷 -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1.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 접속한다.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는

개별단독주택, 표준단독주택, 공동주택, 개별지, 표준지 등 공시가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원하는 항목(주택/토지의 공시지가/공시가격)을 클릭한 후, 주소를 입력해 줍니다.

3. 검색 하단에 원하는 공시지가/공시가격 결과가

연도별로 표시됩니다.

 

728x90

 

모바일 - 스마트국토정보

1. 스타트 국토정보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스마트 국토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며

휴대폰으로 국토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모바일앱을 실행한 후,

상단 검색창에 주소를 입력하고

입력한 후 하단의 토지정보 옆

상세정보 보기를 누릅니다.

3. 가격을 누릅니다.

연도별 개별공시지가와 공동주택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공시지가/공시가격은

관련 기관에서 객관적인 기준을 토대로

각 부동산에 대해 매겨진 가격으로서,

부동산 거래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돕고

세금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거래 전에 반드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지지분 확인하는 방법

대지지분 인터넷으로 확인하기

대지지분은

부동산 거래 및 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공동 소유의 토지나 건물에 대한 권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투자할 때 대지지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불이익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대지지분의 정의와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대지지분이란

대지지분 확인 방법 - 인터넷

대지지분 확인 방법 - 모바일앱

 

 

대지지분이란

대지지분

특정 토지나 건물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지분

의미합니다.

부동산의 전체 면적에 대한

각 소유자의 면적 비율로 계산됩니다.

각 소유자는 자신의 대지지분에 따라

권리와 의무를 가집니다.

💡 예를 들어

토지면적이 12 인 공동주택에

A - D 호수가 각각 대지권 지분비율이

A : 4/12 , B : 4/12, C : 2/12, D : 2/12라면,

A의 대지지분은 4입니다.

전용면적이 동일한 부동산일지라도,

대지지분은 다를 수 있습니다.

대지지분이 클수록

해당 부동산의 가치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부동산 매수를 하기 전 매물을 비교할 때,

확인해 봐야 할 중요한 항목입니다.

반응형

대지지분 확인 방법

1. 인터넷 사이트 - SEE:REAL

1. SEE:REAL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SEE:REAL(시리얼)은

LH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정보 공공 포털서비스입니다.

 

2. 왼쪽 메뉴의

부동산 종합 정보에 들어갑니다.

3. 조회할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을 눌러줍니다.

4. 토지면적을 확인해 줍니다.

5. 스크롤을 내려서 건물

기본 정보의 표를 클릭합니다.

6. 하단에 표제부 정보가

추가적으로 나오게 되는데,

대지권 정보 조회 옆의 동과 호수를 클릭하면

대지권 지분비율이 나옵니다.

7. 계산하기

4번에서 확인한 토지면적과

6번에서 확인한 대지권 지분비율을 곱해줍니다.

 

단위가 m2이므로,

평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3.3을 나누어주면 됩니다.

15.63 / 3.3 = 4.73평

728x90

 

대지지분 확인 방법

2. 모바일앱 - 스마트국토정보

1. 스타트 국토정보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스마트 국토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며

휴대폰으로 국토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모바일앱을 실행한 후,

상단 검색창에 주소를 입력하고

입력한 후 하단의 토지정보 옆

상세정보 보기를 누릅니다.

3. 토지면적을 확인해 줍니다.

4. 하단의 대지권 등록부에서

동, 호수를 입력하고

대지권 지분 내용(대지권 지분비율)을

확인합니다.

5. 계산하기

3번에서 확인한 토지면적과

4번에서 확인한 대지권 지분비율을 곱해줍니다.

단위가 m2이므로,

평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3.3을 나누어주면 됩니다.

15.63 / 3.3 = 4.73평

마무리

대지지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확인하는 것은

부동산 거래에서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소유권을 명확히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다면,

대지지분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미국의 경제 지표 :

GDP, CPI, PPI, PCE, PMI,

고용보고서, 미시간대 소비자 신뢰도,

실업수당 청구 건수, 주택 착공 건수

미국 증권 시장에서 다양한 경제 지표가 발표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경제 상황을 반영하며,

기업 실적과 시장 전망,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경제 지표들을 다루고,

각 지표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언제 발표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GDP

미국 상부무에서 발표하는

국가 경제의 총 생산을 나타내며

경제 성장률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GDP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 호조를 의미하며,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발표 시기:

매 분기마다 발표되며,

첫 번째 추정치는 분기 종료 후

1개월 이내( 분기 다음 달 셋째나 넷째 주)에 발표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소비자물가지수는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하며,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소비자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발표 시기:

매월 중순(10~15일)에 발표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 Price Index, PPI

생산자물가지수는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하며,

생산자들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한 후,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는 생산 단계에서의 인플레이션을 나타냅니다.

생산 단계에서의 지수 상승은,

소비자 가격에도 전가될 가능성이 커서

향후 CPI를 예측하는 지표로도 활용됩니다.

발표 시기:

매월 중순(10~15일)에 발표

반응형

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

 

개인소비지출

미국 상무부에서 발표하며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출하는 금액을 기반으로, 개인 소비 지출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PCE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참고로,

Core PCE는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지표입니다.

발표 시기: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에 발표

고용보고서

실업률 Unemployment Rate ,

비농업고용지수Nonfarm Payrolls

고용보고서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하며,

실업률, 비농업 분야 취업인구, 평균 노동시간, 시간당 평균 임금에 관한 주요 자료들을 발표합니다.

미국 경제의 고용 상태와 성장 전망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참고로,

비농업 고용지수(Nonfarm payrolls, NFP)는 서비스업, 제조업, 건설업, 정부 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고용 변화를 반영합니다.

발표 시기: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

소매판매

Retails Sales

 

소매판매

미국 상부무에서 발표하며

소비자들이 소매업체에서 구매한 상품의 총액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매판매가 증가하면 경제가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특히,

소비자 지출은 미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소매판매 지표의 변화는

GDP 성장률, 고용 및 통화정책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발표 시기:

매월 중순(11~14일)에 발표

미시간대 소비자 신뢰도

Michigan Consumer Sentiment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발표하는 경제 지표로,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소비자들의 심리적 상태와 경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며, 향후 경제 활동 및 소비 패턴에 대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발표 시기:

매달 두 번 초기 추정치와 최종치가 발표됩니다.

초기 추정 : 매월 중순 (둘째 주말이 지난 금요일)

최종 : 매월 말 (마지막 주말이 지난 금요일)

 

728x90

구매 관리자 보고서

Purchasing Mangers Index, PMI

 

구매 관리자 보고서(PMI)

전국구매관리자협회에서 발표하며,

구매 관리자들이 매월 작성하는 설문을 바탕으로 해당 신규 수주, 생산, 출하 실적 둔하, 재고, 고용 등을

두루 평가한 지표입니다.

구매 관리자 보고서 PMI는

일반적으로 0에서 100 사이의 숫자로 표시되며,

50을 기준으로 경제가 성장/축소를 평가합니다.

▪︎ 50 이상: 경제가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50 이하: 경제 활동이 축소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발표 시기:

매월 첫째 근무일

주택 착공/건축 허가 건수

Housing Starts/Building Permits

주택 착공/건축 허가 건수

미국 상무부에서 말표하며,

경기가 침체기에 진입하면 주택 착공/건축 허가 건수가

감소하고, 경기 회복기에 이르면 증가하기 때문에

경기의 변동을 예측하는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발표 시기:

매월 중순(16~20일)

신규/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

Initial/Continuing Jobless Claims

 

신규/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하며,

신규로 실업수당을 청구하거나, 계속해서 실업수당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수를 나타냅니다.

고용의 불안정성과, 노동 시장의 회복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발표 시기:

매주 목요일

마무리

 

투자자들은 다양한 경제 지표를 활용하여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고,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이러한 경기 지표들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여,

시장 변동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성공적인 투자되시길 기원합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25.03.07 (미국 기준)

2025.03.08 (한국 기준)

#미국 증시 뉴스

  • 미국 2월 실업률 발표 실제 4.1%, 예상 4.0%, 1월 4.0%

  • 미국 2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발표 실제 151K, 예상 159K, 1월 125K

  • 2월 연방 정부 고용 10,000명 감소, DOGE 감축이 미 노동 시장에 서서히 영향 미쳐

 

반응형

  • S&P 500 지수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시장이 동요하면서 9월 이후 최악의 주간 성과 기록
 

  • 연준 의장 파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접근 강조… 정책 불확실성 언급: "서둘 필요 없다"

  • 고용 보고서 발표 이후에도, 시장은 올해 세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

  •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백악관 암호화폐 정상 회담 개최.코인베이스, 크라켄,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로빈후드 등 주요 산업 리더들이 참석. 미국 비트코인 준비금, 암호화폐 규제, 그리고 산업 성장에 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

  • 코인베이스 CEO: 트럼프, 암호화폐 산업에 '생명' 불어넣는다고 언급, 천 명을 채용할 계획.

728x90
  • 2025.03.07(미국 기준) / 03.08(한국 기준) S&P 500 일일 주가 현황 (Finviz)
 

 

  • 2025.03.07(미국 기준) / 03.08(한국 기준) S&P 500 섹터별 주가 현황 (sectorspdrs)

통신서비스 : +0.64%

임의소비재 : -0.18%

필수소비재 : +0.33%

에너지 : +1.71%

금융 : -0.53%

헬스케어 : +0.01%

산업 : +1.17%

소재 : +0.27%

부동산 : +0.57%

정보기술 : +1.45%

유틸리티 : +1.86%

  • 2025.03.08 A.M. 10:00 (한국 기준) (Investing.com)

다우존스 : 42,801.72

S&P 500 : 5,770.17

나스닥 : 18,196.22

미국 30년 국채 금리 : 4.602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304

미국 5년 국채 금리 : 4.086

미국 2년 국채 금리 : 4.002

S&P VIX : 23.37

달러 인덱스 : 103.85

원달러 환율 : 1,449.00

엔달러 환율 : 148.03

유로달러 환율 : 1.0832

금 : 2,914.10

은 : 32.809

구리 : 4.7100

WTI 유가 : 67.04

비트코인(USD) : 86,760.0

이더리움(USD) : 2,147.25

이 글은

개인적인 뉴스 정리와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잘못된 내용을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하루 1번 클릭으로 10일 만에 3만 원 벌기!

앱으로 수익 창출, 앱테크,

앱으로 돈 벌기, 틱톡 라이트

블로그를 보다 보니

틱톡 라이트를 통해서 현금이나

포인트 보상을 받았다는

글이 종종 눈에 들어옵니다.

과연 진짜일까?

🤔

호기심 끝에 도전해 보았습니다.

방법은!

링크를 통해서 틱톡 라이트 앱을 다운받은 후

10일 동안 출석체크를 하면 됩니다.

https://lite.tiktok.com/t/ZS6Nr923a/

 

보는 재미를 버는 재미로! TikTok Lite

간단한 데일리 미션을 완료하고 포인트를 받으세요

www.tiktok.com

 

 

중요 포인트!⭐️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검색해서

틱톡 라이트를 직접 다운로드하고 가입하는 경우,

3만 원을 받기 위해서

나의 지인을 한 명 꼭 섭외해야 되는 귀찮음

발생합니다.

그러나!

위의 링크를 통해서 받으시면

별도의 인원 섭외 없이

스스로 10번만 출석하면 됩니다.

왜냐면 제가 초대했기 때문이죠. 🤣

결과적으로 초대한 사람도, 받는 사람도

모두 수익을 가져가는 구조!

참고로~!

틱톡 라이트는

유튜브 쇼츠와 같이

짧은 영상을 올리고 시청할 수 있는

영상 플랫폼입니다.

 

반응형

유튜브/인스타그램/틱톡 라이트/ 네이버 클립 등등

플랫폼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틱톡 라이트는

회원 수를 늘리기 위해서

이렇게 현금을 살포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링크를 다운로드하고 10번 출석체크하면

3만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는데,

 

포인트

현금으로 출금하거나

쿠폰, 상품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친구를 초대하고 친구가 10번 출석하게 되면

받는 포인트 적립방법 외에도

다양한 적립방법이 있습니다.

1. 출석체크

14번 출석하면

총 3,440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2. 영상 시청

틱톡에 다른 사람들이 올린 쇼츠 영상을 보면

내가 본 시간에 따라 할당된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틱톡 라이트에 최대한

오래오래 머물도록 하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이죠.

3. 좋아요 누르기

영상에 좋아요를 클릭하면

50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이것 또한 좋아요를 누르고 받는 과정을 통해

더 많은 영상을 창출하고

플랫폼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입니다.

 

728x90

저는 영상은 잘 안 보는 편이라

영상 포인트는 꾸준히 적립하진 못했습니다만

가족 한 명을 섭외해서

10일 동안 출석체크를 시켜보았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14일 동안 출석하면서

간간이 좋아요를 누르곤 했습니다.

2주가 지나고 결과는......

총 37,024 포인트가 모였습니다.

👏👏👏👏👏

이 포인트는

현금으로 출금해도 되고

다이소, CJ, 스타벅스, 베스킨 등등

쿠폰으로 교환해서 쓰면 됩니다.

걸어서 포인트를 채우는 앱(가령 캐시 워크)는

1300포인트로 1000원 쿠폰으로 바꿀 수 있는 등

포인트와 보상 비율이 1:1 아닌 경우가 많은데

😭

틱톡 라이트 좋은 점은

포인트랑 쿠폰이랑 1:1로 교환됩니다.

 

마무리

틱톡 라이트에서 회원 유치를 위해서

이렇게 현금을 살포하는

공격적인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후기를 보니

2주가 지나면

점점 포인트를 짜게 준다고 합니다.

가령 출석체크 14일이 넘어가면

초반만큼 포인트를 많이 안 준다거나

영상을 아무리 봐도 포인트 안 준다거나 등등

그래서 저는

우선 이 정도 선에서 만족하고

더 이상 틱톡 앱을 잘 쓸 것 같지는 않습니다.

틱톡 라이트, 돈만 받고 안 써줘서 미안해...!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