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1기의 미국 주가 흐름은?
역대 대통령들과의 비교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가 1월 20일
취임식으로 시작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트럼프 1기 동안의 주가가
어떻게 움직였을지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임기 동안의 주가 흐름
트럼프는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하여
2017년 1월 20일에 취임했고,
2021년 1월 20일에 임기가 종료되었습니다.
현재까지의
S&P 500, 나스닥, 다우 존스의 주가 움직임입니다.
◼︎ 핑크 : 나스닥
◼︎ 그린 : S&P 500
◼︎ 퍼플 : 다우 존스

그중에서
노란색 음영에 해당되는 부분이
트럼프 임기 기간이라 할 수 있는
2017 - 2021년입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주가가 상당히 올라왔기 때문에
해당 구간의 움직임이
미비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주가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럼프 임기 동안 나스닥
1년 차 (2017 - 2018) : +32.02%
2년 차 (2018 - 2019) : -2.46%
3년 차 (2019 - 2020) : +32.06%
4년 차 (2020 - 2021) : +40.99%
4년 임기 동안 총 수익률 : +137.96%
(2017.01.20 시가 - 2021.01.19 종가 기준)
트럼프 첫 임기 4년 동안
나스닥지수는
대략 137.79%의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럼프 임기 동안 S&P 500
1년 차 (2017 - 2018) : +23.78%
2년 차 (2018 - 2019) : -4.93%
3년 차 (2019 - 2020) : +25.25%
4년 차 (2020 - 2021) : +14.42%
4년 임기 동안 총 수익률 : +67.35%
(2017.01.20 시가 - 2021.01.19 종가 기준)
트럼프 첫 임기 4년 동안
S&P 500 지수는
대략 65.91%의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역대 대통령의 S&P 500
다음은
역대 대통령의
임기 동안의 S&P 500 상승률입니다.

위 데이터에서는
빌 클린턴 1기 때가 가장 상승률이 높습니다.
다음은
임기 동안의 전체 상승률이 아닌,
연평균으로 계산했을 때의
수치 기준의 데이터입니다.

트럼프 임기 동안의
연평균 S&P 500의 상승률은
대략 16%입니다.
역대 대통령의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보입니다.
마무리
트럼프 2년 차(2018년)에는
미중 무역 전쟁과 금리 인상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져 주가 흐름이 좋지 않았으나, 세금 인하와 규제 완화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에 대한 트럼프 1기의 평가는
긍정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트럼프 2기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그 변화가 주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됩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펀드 종류: 액티브펀드, 인덱스펀드, 상장지수펀드(ETF) (1) | 2025.01.30 |
---|---|
엔비디아, 나스닥 급락. AI 업계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 딥시크 DeepSeek (1) | 2025.01.28 |
트럼프 정책과 주요 행보, 뉴스 모음, 투자 관점 (4) | 2025.01.19 |
AI 산업의 수혜주, 2024년 257% 급등한 기업은? 비스트라에너지 VST (2) | 2025.01.17 |
나스닥 대장 주식의 위기? 애플 주가 하락 이유 (1)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