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
PER, EPS 을 활용한 종목 평가

"이번 실적시즌이 EPS가 예상을 하회하며..."
"PER이 시장 대비 높은 상태로 현재 고평가되어..."
등등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EPS, PER에 대한 언급을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특정 종목이 "고평가되었다, 아니다"
등의 언급도 들을 수 있는데요.
고평가와 저평가
무슨 기준으로 그런 말을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EPS, PER의 개념과 함께
고평가된 것인지, 아닌지
참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목차
EPS
PER
삼성전자의 EPS와 PER
테슬라의 EPS와 PER
EPS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앞 글자를 따서 줄인 말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벌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공식:

한국어로는 주당순이익이라고 합니다.
📌 예시:
ABC 회사가 1년에 1,000억 원의 순이익을 냈고,
주식이 1억 주 발행돼 있다면,

그 회사의 주당순이익, EPS는 1,000원입니다.
1주당 1,000원을 순이익인 상태,
즉 1주당 1,000원을 벌고 있습니다.
EPS는 실적시즌마다
기업에서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EPS 자체도 중요하지만,
시장이 예상한 EPS를 얼마나 부합하는지
상회하고 하회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ER
PER는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앞 글자를 따서 줄인 말로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비율입니다.
알파벳 하나씩 읽어서 피이알이라고도 하고,
퍼라고 읽기도 하고,
PE ratio, P/E 등으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 공식:

이 비율은
주식이 얼마나 고평가되었는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 예시:
ABC 회사의 EPS가 1,000원,
주가가 10,000원이라면

그 회사의 PER는 10입니다.
어떤 회사의 PER이 10이라면,
그 의미는
이는 현재 주가가
그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이익의 10배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 현재 주가는 이 기업이 벌어들이는 연간 이익에 비해 10배가량 비싸게 평가받고 있다.
◼︎ 지금의 주가는 향후 10년간 벌어들일 이익을 미리 반영한 가격이다.
◼︎ 이 회사가 매년 현재 수준의 이익을 낸다고 가정하면, 투자자가 투자금 회수에 10년이 걸릴 수 있다.
삼성전자의 EPS와 PER
상장된 회사의 경우
각 종목을 검색하면
EPS와 PER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삼성전자를 검색했을 때
보이는 기업의 정보입니다.

2024.12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EPS는 4,950원, PER은 11.20배입니다.
PER 11.20배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해당 기업의 주가는 연간 순이익의 약 11.2배 수준이다.
◼︎ 투자자가 이 기업에 투자할 때, 현재 이익 기준으로 원금 회수까지 약 11.2년이 걸린다.
◼︎ 이 기업의 주가는 순이익 대비 11.2배 높게 형성되어 있다.
◼︎ PER 11.2는 시장이 이 기업의 이익 1원에 대해 11.2원을 지불하고 있다는 뜻이다.
◼︎ 현재 주가는 이 기업이 벌어들이는 연간 이익에 비해 11.2배가량 비싸게 평가받고 있다.
이렇게 보면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한 사람이라면
'아니, 그럼 내가 11.2배나 비싸게 주고 사는 거야?'
'너무 비싼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 생각이 맞을 수도 있고요.
하지만
PER을 볼 때는
해당 기업의 단독 PER을 보면서 판단하기보다는,
해당 업종의 평균 PER을 참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령,
다시 위의 자료를 보면,
하단에 동일 업종 PER이 있습니다,
동일 업종 PER 9.41이라는 것은
삼성전자와 동일 업종의
기업들의 PER가 9.41라는 것으로,
PER 9.41은
일반적인 수치라고도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투자자에 따라서
삼성전자는
평균을 살짝 상회한 수준이라고 볼 수도 있고,
아니야
그래도 평균을 너무 상회했어라고도 볼 수 있죠
테슬라의 EPS와 PER
한국인이 좋아하는 테슬라 주식의 경우
PER이 113.9입니다.

PER 113.9라는 것은
투자자가 이 기업에 투자할 때, 현재 이익 기준으로 원금 회수까지 약 113.9년이 걸린다는 의미로서
죽을 때까지 원금 회수를 못 할 수도 있죠... ㅎ
그렇기 때문에
테슬라가 고평가 논란이라는 입장도 많습니다.
물론, 또 다른 입장으로는
테슬라의 잠재력과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투자자들도 많고요.
주식은 참 어렵습니다..
마무리
이 PER는 각 기업의 고평가, 저평가를
평가하는 수치로서도 활용하지만,
한 국가의 증권시장 고평가, 저평가에도
PER 개념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가령
"한국은 저평가된 시장이다."
"한국 증권시장은 코리안디스카운트가 적용되었다"
라는 말도 이 PER 개념에서 나온 것이죠.
다음번에는,
한국과 미국 증권시장이
현재 고평가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역사적 PER 흐름과 평균 PER과
그리고
현재의 PER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미국 주식의 세금 :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배당소득세, 납부기한, 계산방법, 신고방법 (2) | 2025.05.05 |
---|---|
미국 증시, 지금 들어가도 될까? S&P 500 PER로 본 시장 가치 평가 (2) | 2025.04.26 |
한국인이 사랑하는 미국 레버리지 ETF 18개 (테슬라, 비트코인, 엔비디아, 반도체) (3) | 2025.04.10 |
미국 증시에 상장된 금 관련 주식과 ETF (2) | 2025.03.29 |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주식 매매 타이밍 (교차점, 배열,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정배열, 역배열) (0) | 2025.03.27 |